위장관계

장의 질병 - 장폐색증

장관의 내강이 완전폐색되는 경우를 장폐색증(ileus)이라고 하며, 불완전한 폐색, 즉 다소 통하는 상태를 장협착이라고 한다. 그러나, 양자를 구별하지 않고 장폐색증이라 한다. 장폐색의 원인에 따라 기계적 장폐색과 기능적 장폐색으로 구분된다. 임상적 증상은 구토, 변비(장에 공기나 음식물이 증가하여 늘어남으로) 전해질 균형 이상, 심한 복통(특히 기계적 폐색일 때)이다. 그러나 마비에 의한 장폐색인 경우에는 기계적인 장폐색과는 다르게 연동운동에 의한 압력이 없으므로 복통은 없다.


기계적 장폐색

가장 많은 것은 외부적 압박, 헤르니아, 복강내 섬유성 협착, 장중첩, 장염전, 장벽의 병변(섬유화로 인한 협착, 종양) 그리고 이물질에 의한 경우 등이 있다.

① 헤르니아(탈장, 장탈출증)
헤르니아(hernia), 체강벽에 부분적으로 결손부와 저항이 약한 곳이 있어서, 체강내압의 상승 등에 의해서, 그 부분에서 내장이 복막에 싸여서 탈출한 상태를 말한다. 탈장 또는 장탈출증이라고 한다. 장과 관련된 경우는 탈장이라고 한다. 탈장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장소는 서혜부, 횡격막 및 대퇴관, 배꼽 및 복벽, 수술반흔 등을 들 수 있다. 탈장의 유형별로 분류하면
 a.
간접 서혜부 탈장; 내서혜관(internal inguinal ring)을 통한 탈장
 b.
직접 서혜부 탈장; 서혜관(inguinal canal) 후벽을 통한 탈장
 c.
대퇴관(femoral canal) 탈장
 d.
배꼽주위(periumbilical) 탈장
 e.
수술반흔(surgical scar) 탈장
 f.
요추 탈장(posterior abdominal wall)
 g.
횡격막 탈장 등이 있다.
탈장의 입구가 넓고, 창자가 출입을 하고 있는 동안은 혈액순환이 되므로 임상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탈장의 입구가 좁아서 탈장된 조직이 나오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혈관이 억눌러져 장관 조직이 허혈성 및 출혈성괴사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을 교액성 장폐색(strangulation)이라고 한다.

② 장중첩
장중첩(intussusccption)은 장관의 일부가 망원경 처럼 장관속으로 들어간 상태를 말한다. 일단 시작이 되면 연동운동은 계속 장의 앞부분을 장관속으로 중첩시키며 밀어넣게 된다. 이것은, 소아에게 많으며 성인은 드물다. 호발부위는 회장말단부이다. 소아에서는 장벽의 림프조직의 증식이 원인이 될 때가 많으나 성인에서는 흔히 지방종과 평활근종이 원인이 된다. 장벽의 소아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없어도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초기에는 고압관장(barium enema)에 의해서 정상으로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교액성 장폐색이 되어, 출혈성 경색과 괴저가 일어나므로 개복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임상적으로 복부팽만, 장폐색, 복통, 구토 등을 일으킨다.

③ 장염전(장 꼬임)
장염전(volvulus)이란 길고 가는 고무 풍선을 비틀어서 고리를 만드는 것과 같은 형태로 장관이 장간막을 축으로 회전되거나 주변 섬유화에 의한 유착으로 꼬인 상태를 말한다. 소장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상당히 꼬불꼬불되어 있지만, 원인 없이는 결코 뒤틀리는 일이 없다. 장염전은 장의 유착과 같이 연동 운동을 방해하는 것이 있을 때 일어나기 쉽다. 호발부위는 S상 결장(노인에 호발), 소장, 맹장(선천성으로 장회전에 이상이 있는 젊은 사람)이다. 유착은 국소성의 복막염을 앓고 난후나 수술후에 합병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교액성 장폐색과 같이 출혈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장벽의 병변에 의한 것  
성인에서는 흔한 원인으로 제일 먼저 암 등의 종양을 들 수 있으나 그 외에 장결핵, 크론병 등에 의해서도 장폐색이 일어날 수 있다.


기능적 장폐색

장의 연동운동이 없어져서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기능장애에 의한 장폐색이다. 원인은 마비성 장폐색, 근신경총(myenteric plexus)의 이상, 장의 평활근의 선천적 이상 등이다.

① 마비성 장폐색
마비성 장폐색은 자율 신경의 작용이 약해져 창자의 운동이 방해받는 상태로, 개복수술후와 급성 복막염시에 나타난다.

② 히르시슈프룽(Hirschsprung)
일명 거대결장증(megacolon)이라고도 한다. 직장·결장벽의 근신경총(myenteric plexus)신경절 세포가 선천적으로 없어서 연동 운동을 행할 수 없어 그 결과 변이 배설되지 않아, 결장이 긴 고무풍선처럼 확장되고 심한 변비를 호소하는 질병이다.

 

 

email | sitemap | home

Copyrights (C) 2006-2007 All Rights Reser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Rad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