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다리뼈(bones of loxwerlimb) - 다리의 뼈는
다리이음뼈(볼기뼈)와 자유다리뼈로 구분된다. Ⅰ. 다리이음뼈(pelvic girdle) 1. 볼기뼈(coxal or hip bone) 골반의 양쪽에서 엉덩뼈, 두덩뼈, 궁둥뼈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뼈가 되며 태생 제 2개월 때 엉덩뼈에서 뼈발생중심이 출연하여 궁둥뼈, 두덩뼈 순으로 뼈발생중심이 출현하며, 25세경에 완전한 하나의 뼈로 된다. 1) 폐쇄구멍(obturator foramen) : 궁둥뼈와 두덩뼈 사이의 큰 구멍. 2) 볼기뼈절구(acetabulum) : 볼기뼈의 가쪽면에서 컵모양의 깊은 오목으로 넙다리뼈머리와 관절. - 절구오목(acetabular fossa) - 반달면(lunate surface) - 절구패임(acetabular notch) - 절구모서리(margin of acetabulum) 2. 엉덩뼈(ilium) - 볼기뼈절구의위부분과 볼기뼈의 가쪽부분을 형성하고 몸통과 날개로 구분. 1) 엉덩뼈몸통(body of ilium) : 볼기뼈절구의 위부분을 형성. 2) 활꼴선(arcuate line) : 엉덩뼈 안쪽면에서 엉덩뼈몸통과 엉덩뼈날개를 경계시켜주는 활꼴융기로 골반분계선(terminal line)의 일부를 구성. 3) 엉덩뼈날개(ala of ilium) : 엉덩뼈몸통에서 가쪽 및 위쪽으로 확대된 부채모양의 큰 돌기. 엉덩뼈능선, 엉덩뼈오목(안쪽면), 볼기근면(바깥면), 엉치골반면으로 크게 분류. 3. 두덩뼈(pubis) 볼기뼈절구의 앞부분과 볼기뼈의 앞안쪽 부분을 형성하고 두덩뼈몸통, 두덩뼈위가지, 두덩뼈아래가지로 구성. 1) 두덩뼈몸통 : 앞뒤로 납작한 직사각형의 뼈로 폐쇄구멍의 경계를 형성. - 두덩뼈결절(pubic tubercle) - 두덩결합면(symphyseal surface) - 두덩뼈능선(pubic crest) 2) 두덩뼈위가지(sup. ramus of pubis) - 엉덩두덩융기(iliopuic eminence) - 두덩뼈빗(pectineal line) - 폐쇄능선(obturator crest) - 폐쇄고랑(obturator groove) 4. 골반(pelvis) 양쪽의 볼기뼈와 뒤쪽의 엉치뼈와 꼬리뼈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틀을 골반이라 한다. 골반은 몸의 위부분에서 오는 체중을 지지하고 강력한 근육의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큰다. 1) 위골반문(suprior pelvic aperture, pelvic inlet, pelvic brim) 엉치뼈곶, 엉치뼈날개, 분계선으로 경계되는 공간으로 골반안의 위입구이며 골반을 큰 및 작은골반으로 나눈다. 모양이 비교적 다양하며 산과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a. 앞뒤지름(anteroposterior diameter) : 엉치뼈곶의 중앙부터 두덩결합(pubic symphysis)의 b. 가로지름(transverse diameter) : 위골반문의 양쪽의 동일한 부위 사이의 거리 중 가장 긴 것이다. c. 빗지름(oblique diameter) : 엉덩두덩융기와 반대쪽 엉치엉덩관절 사이의 거리이다. 2) 아래골반문(inferior pelvic aperture, pelvic outlet) 위골반문보다 비교적 모양이 일정하며 앞쪽은 두덩활, 뒤쪽은 작은궁둥패임과 큰궁둥패임, 엉치뼈, 꼬리뼈에 의해 둘러싸인다. 3) 분계선(terminal line) : 활꼴선, 엉덩두덩융기, 두덩뼈빗, 두덩뼈능선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선. 4) 큰골반(greater pelvis, 거짓골반 false pelvis) : 위골반문의 위쪽 공간을 지칭. 5)작은골반(lesser pelvis, 진골반 true pelvis) : 위골반문의 아래쪽 공간을 지칭. 앞은 짧고 뒤는 긴 면을 가지고 활처럼 휘어진 공간으로 태아가 출생시 이 휘어 있는 공간을 지난다. 6) 산과적 앞뒤지름(diagonal oblique conjugate diameter) : 엉치뼈곶과 두덩결합아래모서리 사이의 거리이며 임산부에서 질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7) 골반축(pelvic axis) : 위골반문과 아래골반문의 중앙(주로 앞뒤지름의 중앙)에 수직을 이루는 축을 각각 지칭. 골반축은 두 축이 교차하는 곳부터 위로는 위골반문의 축과 동일하지만 아래로는 골반의 뒤면의 굴곡과 같은 형태로 휘어져 있다. 8) 골반기울기(pelvic inclination) : 해부학적 자세에서 위골반문은 수평면에 대해 50~6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아래골반문은 수평면에 15도 정도의 각을 이루고 있다. 5. 골반의 형태학적 분류 일반적으로 골반입구지수(pelvic brim index, 앞뒤지름/가로지름 X 100)는 골반의 형태적 분류의 기준이 된다. 1) 긴머리형골반 - anthroid (dolicocephalic pelvis) : 앞뒤로 길다. 2) 남자형골반 - android (brachypellic pelvis) : 가로보다 앞뒤지름이 길다 3) 여자형골반 - bynecoid (mesatipellic pelvis) : 앞뒤지름보다 가로지름이 길다 4) 편평골반 - platypelloid (platypellic pelvis) : 가로로 길다. Ⅱ. 자유다리뼈(bones of the leg) 1. 넙다리뼈(femur) 1) 몸쪽끝 a. 넙다리뼈머리(head of femurP : 2/3 정도의 공모양을 형성하고 안쪽위 및 약간 앞쪽으로 향해 볼기뼈절구에 적절하게 관절한다. - 넙다리뼈머리오목 (fovea of head of femur) : 넙다리뼈머리의 관절면의 오목부위로 넙다리뼈머리인대(lig. capitis femoris)가 부착된다. b. 넙다리뼈목(neck of femurP : 넙다리뼈머리와 넙다리뼈몸통을 연결하는 좁은 부위로서 넙다리뼈몸통과 125도의 각을 형성한다. 앞쪽에서 넙다리뼈몸통과 경계는 돌기사이선(intertrochanteric line)이며 엉덩넙다리인대(iliofemoral lig.)가 부착된다. c. 큰돌기(greater trochanter) : 넙다리뼈목과 몸통 결합부위의 가쪽뒤부위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크고 불규칙한 사각형모양의 융기이다. 중간보릭근, 작은볼기근 및 궁둥구멍근의 닿는곳으로 제공된다. d. 작은돌기(lesser trochanter) : 넙다리뼈목과 몸통이 형성하는 각 안에 위치하거나 넙다리뼈목의 뒤안쪽에 위치한다. 돌기사이능선(9ntetrochanteric crest)의 아래끝에서 돌출된 것으로 엉덩허리근힘줄의 닿는곳으로 제공된다. 2) 넙다리뼈몸통(body of femur) - 거의 원통모양이나 앞뒤로 약간 눌린 양상을 보이며 넙다리뼈몸통의 중심부위 보다는 몸쪽 부분이 약간 넓고 먼쪽 부분은 가장 넓으며 다소 납작하다. 약간 굽어져 있으며 앞쪽으로 볼록하고 3개의 모서리(뒤, 가쪽, 안쪽), 4개의 면(오금, 앞, 가쪽, 안쪽)을 갖는다. 3) 먼쪽끝(distal extremity) a.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 모음근결절(adductor tubercle) : 안쪽위관절융기의 위쪽에 있는 작은돌기로 큰모음근이 닿는다 b.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 c. 융기사이오목(intercondylar fossa) d. 융기사이선(intercondylar line) 2. 무릎뼈(patella) - 무릎관절 앞쪽에서 만져지며 역세모꼴로 무릎뼈바닥, 무릎뼈꼭지 및 두 개의 면(앞면, 관절면)을 갖는다. 가장 큰 종자뼈로 넙다리네갈래근의 힘줄 안에서 발견되며 넙다리뼈와 괄절하나 정강뼈와는 관절하지 않는다. 넙다리네갈래힘줄은 연속되어 정강뼈거친면에 부착되고 이 연속된 인대를 무릎인대라 한다. 3. 정강뼈(tibia) 종아리의 안쪽에 위치한 뼈. 1) 몸쪽끝 a.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 b.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 c. 위관절면(sup. articular surface) d. 융기사이융기(intercondylar eminence) - 안쪽융기사이결절(medial intercondylar tubercle) - 가쪽융기사이결절(lateral intercondylar tubercle) 2) 정강뼈몸통(body of tibia) - 세모기둥 모양으로 3개의 모서리(앞, 안쪽, 뼈사이) 및 3개의 면(안쪽, 가쪽, 뒤)으로 구성되어 있다. a. 정강뼈거친면(tibial tuberosity) : 정강뼈앞모서리의 몸쪽 끝에서 발달된 거친면으로 무릎인대가 부착된다. b. 가자미근선(soleal line) : 정강뼈뒤면 위 1/3 부위에서 가쪽 위에서 안쪽 아래로 경사짖게 내려가는 뼈선으로 가자미근의 이는곳으로 제공된다. 4. 종아리뼈(fibula) 종아리의 가쪽에 위치한 가늘고 긴 뼈로 수평단면에서 정강뼈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 1) 몸쪽끝 a. 종아리뼈머리(head of fibula) b. 종아리뼈머리끝(apex of fibular head) c. 종아리뼈목(neck of fibula) 2) 종아리뼈몸통(body of fibula) - 위뒤에서 아래앞쪽으로 약간 경사져 위치하고 3개의 모서리(앞, 뒤, 뼈사이) 및 3개의 면(가쪽, 안쪽, 뒤)으로 구성. - 안쪽능선(medial crest) : 뒤면 위 2/3부위에 있는 세로능선을 근육사이막(intermuscular septum)이 부착되고 뒤면은 이 능선에 의해 안쪽 및 가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쪽부분은 뒤정강근이, 가쪽부분은 가자미근과 긴엄지발가락굽힘근의 이는곳으로 제공된다. Ⅲ. 발뼈(bones of foot) 1. 발목뼈(tarsal bones) 7개의 뼈, 즉 목말뼈, 발꿈치뼈, 발배뼈, 입방뼈 및 3개의 쐐기뼈로 구성. 1) 목말뼈(talus) 몸무게를 정강뼈부터 발가락뼈까지 전달하며 근육이 부착되지 않은 유일한 발목뼈. a. 목말뼈머리(head of talus) - 발배관절면(articular surfce for navicular bone) - 앞발꿈치관절면 - 목말뼈뒤돌기 : 몸통 뒤면에서 뒤쪽으로 향한 돌기이며 안쪽 및 가쪽결절인 두 결절 사이에는 긴엄지굽힘근힘줄고랑이 있고 같은 명칭의 힘줄이 지난다. 2) 발꿈치뼈(calcaneus) - 발목뼈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뼈이고 짧은 기둥 모양으로 목말뼈 아래에 위치. - 발꿈치를 형성하고 위로는 목말뼈와 앞으로는 입방뼈와 각각 관절한다. - 목말받침돌기 : 발꿈치뼈 안쪽면으로부터 선반처럼 안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목말뼈를 지탱한다. 목말받침돌기의 아래면은 긴엄지굽힘근힘줄고랑이 있고 같은 명칭의 힘줄이 지난다. 3) 발배뼈(navicular bone) - 목말뼈와 세 개의 쐐기뼈 사이에 위치한 배모양의 발목뼈 4) 입방뼈(cuboid bone) 긴종아리근힘줄고랑, 입방뼈거친면, 발꿈치돌기 5) 쐐기뼈(cuneiform bone) - 발바닥의 가로활에 관련된 쐐기 모양의 뼈이며 안쪽, 중간 및 가쪽쐐기뼈로 구성되어 있고 뒤쪽은 발배뼈와 앞쪽은 3개의 발허리뼈와 관절한다. 2. 발허리뼈(metatarsal bones(1st ~ 5th) - 5개의 발허리뼈로 구성되며 구조는 손허리뼈와 같다. 첫째발허리뼈에서는 안 및 가쪽 종자뼈를 갖고 있다. 3. 발가락뼈(phalanges) - 길이는 손가락보다 짧지만 구조는 거의 유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