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Joint)

관절 뼈대에서 벼와 뼈가 이어져 있는 부분을 관절(joint, articulations)이라고 한다. 관절은 뼈와 뼈 사이뿐만 아니라 뼈와 연골 사이의 연결도 포함되며 마주하는 뼈도 각각 하나씩인 경우도 있지만 둘 이상의 뼈가 서로 이어져 있는 수도 있다. 관절에서는 흔히 연결된 뼈 사이에 움직임 즉 관절운동이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전혀 움직임이 없는 관절도 있다.

 

관절(Joint)의 종류

우리 몸에는 세 가지 종류의 관절이 있는데 그것은 관절을 이루는 두 뼈 사이가 공간을 이루며 비어있느냐 또는 어떤 조직이 들어있느냐에 따라 나눈 것이며 이 종류에 따라 관절운동의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도 결정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관절을 섬유관절 (fibrous joints),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s) 및 윤활관절(synovial joints)의 세가지로 구분한다. 섬유관절의 형태는 위치상으로는 머리뼈에서 주로 볼 수 있고 마주하는관절 뼈 사이에 섬유조직이 들어 있어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는 형태이다. 연골관절은 몸통의 척추뼈와 골반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뼈 사이에 연골이 들어있어 제한된 범위 안에서 움직임은 약간 일어난다. 윤활관절은 팔다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관절이며 관절하는 뼈 사이가 비어 있고 윤활액이 들어 있어 운동이 세 형태 중 가장 자유롭다.



1. 관절의 종류와 특징

 

 관절

위치

뼈사이공간

들어있는 조직

움직임

섬유관절

머리뼈

공간없음

섬유조직

거의 없음

연골관절

골반 척추뼈

공간없음

연골조직(섬유연골)

약간있음

윤활관절

팔다리뼈

비어있음

액체(윤활액)

자유로움

 

섬유관절
Fibrous joints

  인대결합 Sydesmosis
 
봉합 Suture : 평면봉합 Plane suture
               
비늘봉합 Squamous suture
               
톱니봉합 Serrated suture
 
못박이관절 Gomphosis

연골관절
Cartilaginous joints

  유리연골결합 Synchondrosis
 
섬유연골결합 Symphysis

윤활관절
Synovial joints

  평면관절 Plane joints
 
경첩관절 Hinge joint
 
중쇠관절 Trochoid joints
 
두융기관절 Bicondylar joints
 
타원관절 Ellipsoid joints
 
절구관절 Ball-and-socket joints
 
안장관절 Saddle joints

 


2. 관절의 병적 상태

 

뼈가 이어져 있는 관절은 운동이 가능한 곳에서는 정상적으로 허용되는 운동 정도의 한 계가 있다. 그런데 이 허용 한계를 벗어나 정상적인 해부학적 관계를 벗어나게 되면 이것을 탈구(dislocation)라고 한다. 이런 탈구는 주위에서 받치고 있는 인대나 근육이 마땅하지 않거나 관절면 사이의 모양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가 대부분이며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어깨관절(shoulder joint)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선천적으로 탈구가 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엉덩관절(hip joint)에서 흔히 나타나며 발육 과정에서 볼기뼈절구(acetabulum)가 적절하게 생겨나지 못하여 넙다리뼈머리가 제 자리를 유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관절 속의 구조물 특히 몸의 무게를 감당하는 역할을 하는 무릎의 반달(meniscus)같은 연골은 한계를 넘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것을 이겨내지 못하고 손상을 입게 된다. 머리뼈처럼 넙적한 막 모양의 뼈가 생길 때는 앞서서 생기는막의 틀이 한쪽으로는 뼈가 되면서 다른 한쪽으로는 봉합을 유지해야 계속 자라나는데 막에서는 성장이 계속되고 봉합은 일찍 닫혀지면 이것도 뻗어나갈 길이 없어 이상한 관절 모양을 나타낸다.


3. 관절의 신경 지배

관절에는 많은 감각신경종말(sensory nerve ending)이 분포되어 있다. 이 종말은 관절 주머니와 인대에 주로 퍼져 있으며 관절면을 덮고 있는 연골에는 그 주변인 윤활막에만 약간 있다. 이 종말에서는 관절주머니나 인대가 얼마나 늘어나 있는지 그 상태를 알리는신호를 끊임없이 중추신경으로 보내 만약 너무 늘어났다고 판단되면 그 관절을 안정시키는 근육을 수축시킬 운동신경 자극을 내려보냄으로써 관절주머니나 인대는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하고 이러한 관절주머니나 인대의 늘어남이 도를 넘게 되면 통증을 느끼게함으로써 휴식을 하도록 유도한다. 관절에서의 이러한 신호는 근육이나 힘줄에서 보내오는감각 신호와 함께 우리 몸을 능동적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몸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일을 돕게 된다. 관절의 혈관에는 교감신경섬유가 와서 분포하고 있어 수축과 확장으로 혈액량을 조절하기도 한다. 어느 한 관절에 분포되는 신경은 동시에 그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에도 분포되어 있고 또한 이 근육이 뼈에 붙는 닿는곳(insertions)의 표면에 있는 피부에도 분포되고 있는 규칙성을 가지고 있어 이것을 힐튼의 법칙(Hilton's law)라고 한다.

 

 

email | sitemap | home

Copyrights (C) 2006-2007 All Rights Reser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Rad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