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 질환

심부전증

심장은 성인에서 평균 250g 전후의 근육장기로 혈액 순환의 원동력인 펌프기능을 하고 있다. 심장은 커다란 예비력을 가지고 있어서 1분간에 좌심실이 대동맥으로 추출하는 혈액량은 안정시에는 약 5ℓ이지만, 심한 운 동시에는 20ℓ를 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커다란 예비력을 가지는 심장도 때때로 심부전증이라고 불리는 기능불능 상태에 빠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심부전증이라는 것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혈 액의 충분한 심장박출량을 얻을 수 없어 신체의 필요를 채워주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부전증(Heart failure)의 원인으로는
(1)
심근의 수축력 감소: 허혈성 심질환, 심근염 등
(2)
심근에 걸리는 부하의 과잉: 고혈압성 심질환, 심장 판막증 등
(3)
원인 불명의 심근 기능의 저하: 심근병증
(4)
선천성 심질환이 있다. 이들 원인 질환에 대해서는 다음 항 이후에서 설명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심부전의 결과로서 생기는 변화를 언급하기로 한다. 우선 심질환이 오기 전에 심장은 보상성기능 강화를 위해 심실의 확장, 심근의 비대, 염분과 수분의 저류를 통한 혈액량의 증가, 빈맥 등을 일으킨다. 한 보상성 기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 오래 지속되면 더 이상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고 심부전증이 오게 된다.  심부전증에서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동맥측으로 혈류의 부족(빈혈), 또한 정맥측으로 혈류가 정체(울혈)된다. 각각 전방 부전증 (forward failure)과 후방 부전증(backward failure)이라고 불리고 있다. 그리고 심부전증은 좌측 심부전 증과 우측 심부전증으로 구별된다.

좌측 심부전증
좌측 심부전증의 원인은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폐동맥 또는 승모판막질환, 심근염 등이 주요 원인이다. 주로 폐부종 심장기능의 감소 뇌의 저산소증 등이 일어나게 된다. 급성 최측 심부전증시에는 심인성 쇽을 일으키고, 이 경우 전방 심부전증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우측 심부전증에서는 후방 부전증이 강조되며, 울혈성 심부전증이라고 불리는 상태가 된다. 후방 부전증이라고 함은 좌심실에 병변이 있으면, 울혈이 그 후방의 혈관계, 즉 좌심방→폐정맥→폐내 모세혈관에서 생기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점차 폐의 모세혈관 내압이 높아지고, 혈액 성분이 폐포강내로 누출하게 된다. 이것이 폐부종이다. 폐부종이 있는 환자에게는 폐포내의 공기가 채워질 수 없기 때문에 호흡 곤란이 발생한다. 특히, 환자가 침대에서 누워있는 상태에서 발작성의 호흡 곤란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중력의 관계로 폐내 울혈이 강해 졌기 때문이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체를 일으키면 호흡이 편안해 진다. 이것을 기좌호흡(orthopnea) 이라고 한다.  폐정맥과 모세혈관에 울혈이 계속되면, 이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폐동맥의 혈압도 높 아져서 속발성 폐고혈압증이 된다. 폐압증에서는 폐동맥의 중막 평활근이 발달한다. 이와 같은 동맥은 경 직 즉 수축을 일으키기 쉽고, 경직에 의해서 혈류가 두절되면, 그 지배 영역의 모세혈관에 내피의 허혈성 손상과 투과성의 항진이 초래된다.  그 결과 폐에는 출혈소가 점상으로 발생하게 된다. 폐포내에서는 누 출한 적혈구는 대식구(macrophage)에게 탐식된다. 대식구는 적혈구를 파괴하고, 헤모글로빈의 분해 산물인 혈철소(헤모시데린, hemosiderin)라고 하는 갈색 무기물질을 세포질내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대식구를 심부전증 세포(또는 심장병 세포)라고 한다. 심부전증 환자의 객담이 자주 피가 섞인 혈성이거 나, 갈색조가 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우측 심부전증
우측 심부전증의 원인은 폐성심, 삼첨판 또는 폐동맥 반월판막 질환, 심근염(우측) 등이다. 또 좌측 심부 전증이 있으면 자연히 우측 심부전증도 발생하게 된다. 우측 심부전증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증은 후방부 전증이며 전신의 정맥계와 연루된다. 영향을 받는 주요 장기는 간, , 신장이다. 문맥압, 전신정맥의 울혈, 부종 등이 나타나고, 폐는 거의 정상적이다. 간내 간소엽의 혈액 관류는 글리손 피막(Glisson capsule)의 수입 혈관(문맥과 간동맥)과 중심 정맥사이에 있는 압차에 의존하고 있다. 심부전증은 정맥압이 높기 때문 에, 소엽 중심부에 울혈과 빈혈이 생긴다. 그 때문에, 이 부위의 간세포의 대사 기능이 장애받고, 지방 변성 이나 위축을 나타낸다. 간장의 할면을 보면, 육두구(Nutmeg: 열대지방의 잣 종류의 열매) 열매의 할면과 유사한 특징있는 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육두구간이라고 부르고 있다.  비장에서는 종대가 심하 며 정맥동의 확장과 울혈과 출혈이 나타나고 혈철소 침착과 섬유화가 일어나 동벽이 비후되고 섬유성 결절 도 만든다. 신장의 울혈이 일어나면 저산소증에 의한 요세관괴사가 일어나며 수질에 심한 울혈이 관찰된다 심부전증에 있어서 정맥압의 상은 조직내에서 수분의 출납 균형을 파괴하고, 피하조직이나 흉강과 복강과 같은 체강에 과잉한 수분의 저류를 초래한다. 심부전증은 신장에도 울혈을 일으키며 혈류의 부족으로 핍뇨 가 된다. 그렇게 되면, 수분이나 나트륨이 체외로 충분히 배설되지 못하기 때문에 부종이 한층 더 악화된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에 대해서는 디기탈리스 등의 강심제뿐만 아니라, 이뇨약도 함께 투여하여서 소변량의 증강을 꾀하는 것도 중요하다.

 

 

email | sitemap | home

Copyrights (C) 2006-2007 All Rights Reser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Rad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