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질환

신장의 질환 - 신혈관 질환

신성 고혈압(renal hypertension)의 원인으로는 신장으로 들어가는 혈류의 감소에 의한 레닌-안지오텐신계 계의 역할이 기본적인 기전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특히 신동맥의 협착을 일으키는 질환에서 잘 일어난다. 즉 동맥경화증, 섬유근이형성증(fibromuscular dysplasia), 장기이식후 동맥협착 등을 들 수 있다.  신혈관질환(renovascular disease)이란 오랫동안 지속된 고혈압에 의한 신혈관 손상에 따른 신장의 질병 을 총칭한다.

신동맥협착증

일측성인 신동맥 협착(renal artery stenosis) 2 ~ 4%의 신고혈압에서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일측성 신장의 혈류감소로 인하여 레닌의 분비가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협착의 원인으로는 협착의 70%는 신동맥에 발생한 죽상판(atheromatous plaque)에 의한 폐쇄로 인한 것이며, 나머지는 섬유근이형증(fibromuscular dysplasia)으로 인한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90%가 수술로 치유가 가능하다. 그러나 동맥경화로 인한 경우는 치유율이 60~75%로 낮아진다. 섬유이형증은 동맥의 내벽 또는 중벽에 섬유모세포나 섬유근모세포의 증식으로 해당 동맥벽이 부분적으로 불규칙적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인데 결국 동맥내강의 협착을 일으키고 신장으로 혈류를 감소시켜 레닌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신성고혈압을 일으킨다. 침범범위가 작으면 그 협착 부위의 절제술로 쉽게 치유될 수 있다.

 

 

email | sitemap | home

Copyrights (C) 2006-2007 All Rights Reser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Rad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