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계 질환

부갑상선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호르몬의 과분비로 인한 혈중 칼슘농도가 올라가고 그로 인한 여러 가지 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부갑상선 기능항진증(hyperparathyroidism)이라고 하며 원발성, 이차성, 삼차성 그리고 이소성 등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주요 임상적 소견은 정서불안, 고칼슘혈증, 신석증 등이다.

1차성(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80% 이상은 4개의 부갑상선중 1개에서 발생된 단일 부갑상선 호르몬(PTH)생산선종에 의해서 발생되지 만 드물게는 다발성 선종과 암종에 의하기도 한다. 뼈 흡수의 촉진, 신장에서의 칼슘 재흡수와 인산배설의 효과, 칼슘혈증과 저인산혈증이 된다. 전이성 석회화가 여러 장기에서 나타나고 심근의 수축이상, 또한 섬유낭성 골염(osteitis fibrosa cystica, 일명 갈색종(brown tumor)이라고 하며 그 기전은 부갑상선 호르 몬의 과잉분비로 뼈속의 칼슘이 빠져나가 골다공증, 섬유화, 낭포형성 등이 복합적으로 관찰되는 상태를 말한다. 고칼슘혈증으로 인하여 신장 또는 방광 결석이 자주 생기고, 요세관의 농축력의 감소로 인하여 생 기는 빈뇨, 소화성 궤양, 체력 저하, 췌장염, 쉬피로감, 신경 증상도 나타난다.  주로 뼈에 병변이 일어나는 경우를 골형, 요로 결석을 반복하는 경우를 신장형, 고칼슘혈증만의 경우를 화학형으로 분류한다. 빈도는 신장형화학형골형 순이다.

2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혈청 내의 칼슘농도가 저하되면 2차적으로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분비항진 상태가 초래되고 부갑상선 호르몬의 부족을 채우기 위해 부갑상선은 보상성 과형성이 발생한다. 원인은 만전증이 많은데 그 이유는 신부전증이 되면 혈중 칼슘이 요로 배설되어 혈중 칼슘치가 감소되므로 부갑상선 기능항진이 이차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 비타민 D의 결핍과 PTH 수용체 이상, 일명 가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pseudohyper-parathyroidism)도 있다. 이때는 4개의 갑상선이 모두 증식을 일으켜 비슷한 크기로 비대해진다.

3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전항의 과형성병변이 추후에 부갑상선 호르몬 생산선종으로 발전되면 2차성 기능항진증이 다시 원발성 기능항진증으로 전환시킨 것이 되므로 1차성 기능항진증과 구별하기 위하여 3차성 기능항진증이라고 한다.

이소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호르몬이나 호르몬유사 폴리펩타이드가 여러가지 악성종양에서 분비되어 1차성의 부갑상선의 기능항진증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원인은 폐의 편평세포암종, 신장의 신세포암종, 방광암종 등에서 관찰된다.

 

 

email | sitemap | home

Copyrights (C) 2006-2007 All Rights Reser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Rad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