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장관계
식도의 질병
식도는 구강에서 씹혀진 음식물을 위로 보내 주는 역할을 하며 정상구조는
표층으로부터 편평상피, 점막고유층, 점막하조직 그리고
근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는 장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식도는 발생학적으로 기관(trachea)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형성되므로 선천 기형이 발생하면 식도 폐색이나 식도-기관루를 형성한다. 이것들은 소아 외과에서 수술요법의 대상이 되는
질환이다. 식도에서 있어서 예후가 나쁜 질환은 식도암과 식도
정맥류로서 양자 모두 죽음에 이르게 하는 질병이다.
1) 선천성 식도기형
선천성 식도기형에는 흔히 4가지
유형으로 구별하며 가장 흔한 유형은 상부식도의 무형성과 하부식도는
기관과 누공을 형성하여 기관식도루(tracheoesophageal fistula)를 형성하고 있는 C형이다.
기관-식도루는 식도의 흔한 선천성 기형이다. 일부는
식도의 무형성과 연관이 있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은 삼킨 물질이 식도에서 기관으로 유입되어 흡입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과 청색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2) 염증성 식도질환
역류 식도염
식도의 하부로 산성 위액의 역류는 정상에서 흔히
일어난다. 그러나 그 양이 많을 때는 염증과 증상이 생긴다. 이것을
역류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이라고 한다. 역류액은
담즙이 위에서 역류되는 경우도 있으나 거의 산성 위액이다. 활주헤르니아(Sliding
type)에서 흔히 일어난다. 열공헤르니아(hiatal
hernia)에는 롤링형(rolling)과 활주형이 있는데 이중에 활주형에서 위액의
역류가 좀더 흔한데 그 이유는 탈장에 의해 식도하부 괄약근의 기능부전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병리적으로는
식도하부 점막의 출혈 또는 미란발생. 조직학적으로 기저세포의 증식과 다소의 염증세포 침윤이 있다. 임상적으로 가슴이 쓰림(속쓰림,
heart burn)을 호소한다. 만성 식도염에서는협착이 올 수 있고 연하곤란도 올
수 있다.
3) 식도의 악성종양
식도암
식도에서 발생되는 종양의 95%는 암종이다. 고령층에 많으며, 50세
이하는 적다. 또한, 남성에게 많고, 여성에게 적다. 원인으로는 만성 알코올중독(위험율 20~30배 증가), 흡연(위험율 10~20배 증가) 등을
들고 있으나 아직 잘 모른다. 그외 뜨거운 음식, 아프라독소, 나이트로소아민, 그을리거나 탄 음식 등도 원인으로 들고있다. 발생하기 쉬운 장소로서 유명한 것이 생리적 협착부이다. 식도를 크게 상·중·하로 구분하면, 중간부 발생율이 1/2(50%)로 가장 많고, 이어서 하부가 1/3(30%)이고 상부는 1/5(20%)이 발생한다. 전암성 병변으로는 편평세포암종이 양잿물협착(lye stricture)과 플러머 빈손(Plummer-Vinson) 증후군에서 발생하고, 선암종은 바레트(Barrett) 식도에서 합병된다. 암은 초기는 판같이 점막이
다소 두꺼워진다. 상피내암(CIN)의 형태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데, 진행이 잠행성이며 무증상으로 경과하기 때문에, 조기의
증상예는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경우는 진행되어 나중에는 큰 융기와 궤양 형성에
협착까지 동반되어 연하 곤란이 일어난 후에 병원을 찾아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암은 기관
주위로 접속적으로 침윤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미 절제술은 불가능하게 된다. 90%는 편평세포암종이고 10% 정도의 선암종은 하부 1/3에서 호발한다. 주변조직으로는 종격동과 목부위 림프절로 전이한다. 기관지와 대동맥으로 침투할 수도 있다. 후두신경에 침투하여 성대마비가 와서 목소리가 변하기도 한다. 진단시
주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가 흔하다. 간과 폐로의 혈행성 전이도 흔하다. 발견이 늦은 것과 식도의 상·중부분을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우므로, 식도암의 치료 후의 경과는 위암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나쁘다. 예후는 대체로 나뻐서 70% 이상이 1년내에 사망한다. 조기 식도암의 정의는 암이 점막하층까지 퍼져
있으며, 동시에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것이다.
4) 식도정맥류
간경변증이나 문맥 혈전증
등에 의한 문맥압 항진증에서는 혈류의 바이패스(측부 혈행로)가 발달한다. 이 바이패스 중 1개가 하부식도 점막하의
정맥총을 통해서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으로 뻗어있는 길이다. 따라서, 문맥압항진시, 하부 식도 점막하의 정맥은 확장되어, 꾸불꾸불하게 돌출된다. 이것을 식도 정맥류(esophageal varix)라 한다. 식도 정맥류는 그 위를 얇은 점막밖에 둘러싸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을 삼킬 때에 미세한 손상으로도 파열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대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