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팔뼈(bones of upper limb) - 팔의 뼈는 팔이음뼈(빗장뼈와
어깨뼈)와 자유팔뼈로 구분된다. Ⅰ. 팔이음뼈(pectoral
or shoulder girdle) 1. 빗장뼈(clavicle) - 가슴우리의 앞면 위에 있는 뼈로서 복장뼈와 어깨뼈를 연결하는 s모양의
뼈 1) 복장끝(sternal end) : 삼각기둥모양이고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2) 빗장뼈몸통(body of clavicle) : 빗장밑근고랑(groove for
subclavius m.)이 있다. 3) 봉우리끝(acromial end) : 봉우리쪽에 있으며 위아래로 납작하고 뒤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봉우리관절면(acromial articular facet), 원뿔인대결절(conoid tubercle), 마름인대선(trapezoid line), 부리빗장인대거친면(tuberosity for coracoclavicular lig.)이 있다.
2. 어깨뼈(scapula
or shoulder blade) - 삼각뼈의 납작뼈로 몸통, 가시
및 부리돌기로 구성된다. 1) 어깨뼈몸통 2개의 면: 갈비면(costal surface) - 어깨뼈밑오목(subscapular
fossa)
등 면(dorsal surface) - 가시위오목(supraspinatus
fossa),
가시아래오목(infraspinatus
fossa) 2) 어깨뼈가시(spine of scapula) - 삼각형 모양의 돌기이며 가쪽으로 진행되어 어깨뼈의 봉우리(acromoin)까지 계속된다. 3) 봉우리(acromion) : 어깨뼈가시의 가쪽끝 부위이고 위아래로 납작한 뼈로서 빗장뼈와 관절한다. 4)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 어깨뼈의 위모서리에서 어깨뼈패임의 가쪽에 위치하고 어깨뼈목으로부터 ㄱ자 모양이 위앞쪽으로 돌출된다. 5) 어깨펴패임(scapular notch) : 위모서리의 가쪽부분 일부가 패인 곳으로 사람 몸에서는 위가로어깨인대(superior transverse scapular
ligament)가 있어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으로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erve)이 지난다. 6) 관절오목(glenoid cavity) : 가쪽각에 위치하는 큰 오목으로 위팔뼈머리와 관절한다. 7) 관절위결절(supraglenoid tubercle)과 관절아래결절(infraglenoid tubercle) 관절위결절:
관절오목의 위쪽에 있는 거친면. 관절아래결절: 관절오목의 아래쪽에 있는 거친면. Ⅱ. 자유팔뼈(bones
of free upper limb) 1. 위팔뼈(humerus) 1)몸쪽끝(proximal end) A. 위팔뼈머리(head of
humerus): 평활하고 둥근
관절면, 어깨관절에서 어깨뼈의 관절오목과 접한다. B. 해부목(anatomial neck): 위팔뼈머리의 먼쪽에서 좁아진 부분, 관절주머니(articular capsule)가 부착. C. 큰결절(greater
tubercle): 위팔뼈머리의
앞가쪽에 위치한 큰 융기부위. D. 작은결절(lesser
tubercle): 큰결절보다 안쪽에
위치한 작은 융기. E. 결절사이고랑(intertubercular
groove, bicipital groove): 큰결절과 작은결절 사이의 홈. F. 큰결절능선(crest of
greater tubercle): 결절사이고랑의
가쪽경계(lateral lip)로 큰가슴근의 닿는곳. G. 작은결절능선(crest of
lesser tubercle): 결절사이고랑의
안쪽경계(medial lip)로 큰원근의 닿는곳. H. 외과목(surgical neck): 두 결절의 먼쪽부위에 지름이 좁아진 부분이며 골절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 2) 위팔뼈몸통(body or shaft of arm) - 위팔뼈 두끝 사이에 위치한 대부분의 부위이며 몸통의 몸쪽은 원형기둥이고 먼쪽은 삼각기둥이다. A. 세모근거친면(deltoid
tuberosity): 몸통 중앙의
앞가쪽면에 V자 모양의 거친 부위. B. 위팔뼈작은머리(capitulum): 공모양이고 위팔뼈도르래 위에 위치한 깊은 오목이다. C. 팔꿈치오목(olecranon
fossa): 위팔뼈 뒷면에서 위팔뼈도르래위에 위치한
깊은 오목이다. D. 갈고리오목(coronoid
fossa): 위팔뼈 앞면에서 위팔뼈도르래의 위에
위치한 얕은 오목이다. E. 노오목(radial fossa): 위팔뼈 앞면에서 위팔뼈작은머리의 위에 위치한 얕은 오목이다. F. 안쪽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 위팔뼈도르래에서
돌출되었으며, 가쪽위관절융기에 비교해 더 크고 더 돌출되었다. 자쪽곁인대(ulnar collateral lig.), 원엎침근(pronator
teres m.) 및 아래팔 굽힘근육 의 공동힘줄이 부착된다. G. 가쪽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위팔뼈작은머리에서
돌출된 것으로 손뒤침근(supinator m.) 및 아래팔폄근육의 이는곳으로 제공된다. 2. 노뼈(radius) - 아래팔에 존재하는 두 뼈 중 노쪽, 즉
가쪽에 위치하는 뼈로 길이는 자뼈보다는 짧다. 1) 몸쪽끝 A. 노뼈머리(head of radius): 노뼈의 몸쪽끝이 접시모양으로 팽대된 부분. - 관절오목(articular
fovea): 노뼈머리의 위면에 있는 오목으로 위팔뼈작은머리와 관절한다. - 둘레관절면(articular circumference): 노뼈머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절면으로 자뼈의 노패임과 노뼈머리인대(annular lig. of radius)에 의해 관절한다. B. 노뼈목(neck of radius) 2) 노뼈몸통(body of radius) 3개의 면(앞, 뒤, 가쪽면) 및 3개의 모서리(앞, 뼈사이, 뒤)로 구성되고 뒤가쪽으로 약간 굽어있다. A. 노뼈거친면(radial
tuberosity): 노뼈목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돌출부분으로 위팔두갈래근의 힘줄이 닿는곳으로 제공된다. 3) 먼쪽끝 - 몸쪽끝보다 더욱 팽대해 있으며 손목뼈와 관절면을 갖는다. A. 붓돌기(styloid process
of radius): 먼쪽끝의 가쪽부분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해부학적 코담배갑(anatomical snuff box) 안에서 촉지되며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의 닿는곳으로 제공된다. B. 자패임(ulnar notch): 먼쪽끝의 안쪽 부분에 있는 패임으로 자뼈머리와 관절한다. C. 손목관절면(carpal
articular surface): 먼쪽끝 아래면에
있는 관절면에는 두 개의 타원형 오목이 있다. 즉 가쪽오목은 손배뼈(scarphoid
bone)와 안쪽오목은 반달뼈(lunate bone)와 각각 관절한다. 3. 자뼈(ulna) - 아래팔 안쪽에 있는 긴 뼈로서 몸쪽으로는 위팔뼈도르래와 관절하고 가쪽으로는 노뼈와 관절하며 먼쪽으로는 손목뼈를 향해 있으나 이에 대한 관절면을 갖지는 않는다. 1) 몸쪽끝 A. 팔꿈치머리(olecranon) - 팔꿉 뒷면에서 굽혀진 돌출부분으로 위팔세갈래근이 닿는곳으로 제공된다. B. 갈고리돌기(coronoid
process) - 도르래패임 아래에 위치하고 앞위쪽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위팔근의 닿는곳으로
제공된다. C. 도르래패임(trochlear
notch) - 팔꿈치머리와 갈고리돌기 사이에 위치한 관절면으로 위팔뼈도르래와 관절한다. D. 노패임(radial notch) - 도르래패임의 가쪽부분에 있는 패임으로 노뼈머리와 관절한다. 2) 자뼈몸통(body of ulna) - 삼각기둥 모양이며 3 개의 면(앞, 뒤, 안쪽) 및 3 개의 모서리(앞, 뒤, 뼈사이)로 구성되어 있다. A. 뒤침근능선(supinator
crest): 자뼈 뒷면의 위부분에 위치하고 노패임의
뒤모서리에서 시작되어 아래가쪽으로 내려가고 뒤침근의 이는곳으로 제공된다. 3) 먼쪽끝 A. 자뼈머리(head of ulna): 몸쪽끝과 비교해 상당히 작으며 먼쪽끝이 팽대된 부분이다. 먼쪽노자관절에서 자뼈머리는 노뼈의 먼쪽 끝에
관절한다. B. 붓돌기(styloid process
of ulna): 자뼈머리의 안쪽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4. 손목뼈(carpal
bones) - 한 열이 4개의 뼈들로 구성되며
몸쪽줄과 먼쪽줄로 구성되어 있다. 1) 몸쪽줄(proximal row)(가쪽에서 안쪽 순으로 배열): - 손배뼈(scaphoid bone), 반달뼈(lunate bone), 세모뼈(triquetral bone), 콩알뼈(pisiform bone). - 몸쪽줄에서 콩알뼈를 제외한 이 뼈들은 노뼈의 손목관절면과 관절하게 된다. 2) 먼쪽줄(distal row)(가쪽에서 안쪽 순으로 배열) - 큰마름뼈(trapezium bone), 작은마름뼈(trapezoid bone), 알머리뼈(capitate bone), 갈고리뼈(hamate bone). 3) 노쪽손목융기(radial carpal
eminence): 손목에서 노쪽
융기를 구성하는 것은 손배뼈결절(tubercle of scaphoid bone)과 큰마름뼈결절(tubercle of trapezium)이다. 4) 자쪽손목융기(ulnar carpal eminence): 손목에서 자쪽 융기를 구성하는 것은 콩알뼈와 갈고리뼈갈고리(hamulus of
hamate bone)이다. 5) 손목고랑(carpal groove): 손목에서 노쪽손목융기와 자쪽손목융기 사이의 넓고 깊은 고랑으로 손가락 굽힘근힘줄들과 정중신경이 지나간다. 양쪽 손목융기에 손목굽힘근지지띠가
연결되면 손목굴(carpal can -al)이 된다. 5. 손허리뼈(matacarpal
bones) - 작고 긴뼈들로 손바닥에 5개가 있으며,
하나의 손허리뼈는 몸쪽끝이 손허리뼈바닥(base of metacarpal bone), 중앙부분이
손허리뼈몸통(body), 먼쪽끝이 손허리뼈머리(head)로
구성된다. 손허리뼈머리는 주먹(knuckle) 또는 손허리손가락관절을
형성한다. 6. 손가락뼈(phalanges) - 작고 긴뼈들로서 구성은 손허리뼈와 같다. - 각각의 손가락에는 첫마디뼈, 중간마디뼈, 끝마디뼈로 구성된나 엄지손가락에는 중간마디뼈가 없다. - 첫마디뼈와 중간마디뼈의 마디뼈머리는 손가락뼈사이관절 또는 주먹(knuckle)을 형성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