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의학과의
업무 FLOW와 RIS
1. 전산시스템의 개념
1) IHS (INTELLIGENT HOSPITAL SYSTEM)
병원의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모든 업무를
컴퓨터화 하고 , 의료진을
위한 모든 시설 및 장비의 관리를 첨단화, 자동화하며 병원 내에 단일화된 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을
통하여 병원내외의 정보의 흐름을 신속,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병원 전체의 운영 합리화”를 도모하는
병원 시스템을 말한다.

2) 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병원에서 환자 진료를 위하여 원무관리, 진료관리, 진료지원, 일반관리의
모든 시스템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만든 전산 시스템으로 HIS의 하위개념

3) RIS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진료지원시스템의 하나로써 영상의학과에서 사용되는 전산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구성은 환경정보관리, 예약정보관리, 검사접수관리, 검사실시관리, 판독결과관리, 필름대출반납관리, 방사선 재료관리로 되어 있으며 이 모든 것에
의하여 영상의학과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4) 삼성서울병원 PACS 의 구성

방사선 검사실 (I) 업무 FLOW와 RIS
1. 방사선 검사실 (I) 업무 FLOW와 RIS
모든 검사실의 컴퓨터는 RIS 환경으로 로그인 된다.
1) 방사선 검사 : 1~8, ER (ROOM)

- Room1
: GE DR 장비 사용, 자체 영상 처리, Chest 전용 검사
- Room2
: Canon DR 장비
사용, 자체 영상 처리, 병실환자 위주 검사
- Room3
: Samsung Innovision DR장비
사용, 자체 영상 처리, I.V.P검사(예약검사), Whole spine 검사
- Room4
: Canon DR 장비
사용, 자체 영상 처리, 소아환자 검사, Shoulder 검사
- Room5
: Canon DR 장비
사용, 자체 영상 처리, Knee, Hip 검사
- Room6
: ADT scan DR 장비 사용, Long Bone, Whole Spine 검사
- Room7
: Hologic장비 사용, BMD검사
- Room8
: GE DR 장비 사용, 자체 영상 처리, 유방검사(일부 예약검사)
- Room ER
: GE DR 장비 사용, 자체 영상처리, 응급실 내원 환자 검사
2) Portable

- Portable은 IP Cassette를
이용하여 검사업무를 수행하며 주로 영상의학과에 내려올 수 없는 병실과 중환자실 환자를 검사한다.
- 검사 후 영상의학과에서
IP Cassette를 조작홀 XG5000을
이용하여 영상처리 한다.
- Potable검사 시 부득이한 경우 다음 근무자에게 인수인계 한다.
방사선 검사실 (I) 인력 구성 및 안내

검사실 |
기종 |
수량 |
주요 검사부위 |
인력현황 |
비고 |
1 |
GE |
2
|
Chest, Rib |
2 |
DR |
2 |
Cannon |
1 |
Chest, Abdomen, Spine |
2 |
DR |
3 |
Samsung |
1 |
I.V.P, Skull, Whole Spine |
2 |
DR |
4 |
Canon |
1 |
Pediatric, Upper Extremity |
2 |
DR |
5 |
Canon |
1 |
Knee, Hip, Lower Extremity |
2 |
DR |
6 |
ADT |
1 |
Long Bone, Whole Spine |
1 |
DR |
7 |
Hologic |
1 |
BMD |
2 |
DR
|
8 |
GE |
1 |
Mammo
|
2 |
DR |
ER
|
GE |
1 |
Chest, Abdomen, Extremity
|
1
|
DR |
Por. |
Shimadzu
|
5
|
Chest, Abdomen |
2
|
CR |
조작홀 |
|
|
Verify |
1 |
|
★방사선검사실 안전관리실천사항★

방사선 검사실 (Ⅰ) 직무 별 업무 지침
1. 방사선 검사실 (Ⅰ)의 파트장의 업무
1) 일반 검사실의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한다.
2) 일반검사실 방사선사 및 인력을 관리 감독하고 적정 배치하여 진료의 원활을 기한다.
3) 검사 장비를 관리, 감독하고 영상관리 및 화질관리를 지시한다.
4) 검사실의 환경 및 안전관리를 확인하고 지도, 감독한다.
5)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업무개선 사항 및 공지사항 등을 전달하고 지시한다.
6) 진료에 관한 최신정보를 습득, 검토하여 연구개발,
임상적용 및 활용방안을 강구한다.
7) 논문발표 내용을 총괄적으로 선정하며, 진행사항을 점검하고 추진시킨다.
8) 연구개발을 통해 질적 향상과 논문 작성 및 학술 발전을 위한 세부적인 실천방안을 강구하여 지도한다.
2. 방사선 검사실 (Ⅰ)의 선임 방사선사의 업무
1) 일반검사1 수석을 보좌하여 일반검사실 업무를 관리한다.
2) 최적의 영상을 운영하고 관리한다.
3) 방사선사의 연구 및 논문작성을 지도하고 관리한다.
4) 수습생, 실습생의 관리 지도 및 자체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한다.
5) 환자예약과 진료상황을 파악, 검사 배분을 통해 신속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조치한다.
6) 검사 요인을 분석하여 영상의 개선방안을 세운다.
7) 진료재료를 비롯하여 의약품, 각종 소모품을 관리한다.
8) 진료재료의 수급, 공급을 계획 관리하고 행정적 제반 절차를 지원한다.
3. 방사선 검사실 (Ⅰ)의 책임 방사선사의 업무
1) 방사선사를 지도하며 신입 방사선사 교육을
담당한다.
2) 장비 유지관리, 이용현황을 파악하여 수석에게 보고하고 조치한다.
3) 일반검사실의 진료업무를 지원한다.
4) 일반검사실의 교육 및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운영한다.
5) 일반검사실의 환경 및 안전관리 업무를 감독하고 지시한다.
4. 방사선 검사실 (Ⅰ)의 방사선사의 업무
1) 일반검사실 흉부, 복부, 척추, 사지, 두부, 소아, 비뇨기, 유방 검사실의 업무를 담당.
2) 검사실의 제반 업무 및 영상처리업무를 담당한다.
3) 일반검사실의 진단장비를 유지관리 한다.
4) 진료정보 및 통계자료 작성.
5) 검사실의 환경 및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6)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 및 실험에 참여하여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향상 시키고 학술교류를 통해 최신 정보를 습득한다.
방사선 검사 시 환자응대
1. 방사선 검사실에서의 환자 응대
검사실은 1인 1객으로 응대하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 보다 올바른 태도와
선량한 표정, 좋은 언어를 사용하여 환자를 대해야 한다.
1) 검사실은 깨끗한 환경과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2) 검사 대기실에서의 호칭은 성인과 소아에 관계없이 존칭을 사용한다.
3) 환자를 대할 때 “정확한 발음, 알맞은 말의 높낮이, 올바른 태도 및 동작” 으로
한다.
4) 환자 개개인이 당황하지 않도록 최대한 PRIDE를 지켜준다.
5)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는 최대한 편안히 모신다.
6) 검사내용 및 방법에 대한 무지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환자는 충분히 설명하여 두려움을 없애 주어야 한다.
7) 환자에게 불필요한 피폭은 최대한 차폐해 준다.
8) 질병에 대한 비밀을 지켜줄 의무가 있으며 환자 직위에 따라 차별 있는 검사행동을 하여서는 안 된다.
9) 환자가 장시간 기다리지 않게 정확하고 신속한 검사를 하여야 한다.
2. 소아환자 검사 시 환자응대
소아들에게는
방사선 검사가 무서운 체험일 수 있다. 이에 불안이나 공포감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안전하고도 신속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1) 충분한 시간을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공포감을 조장하지
않는다.
2) 움직임을 억제할 경우 고정용구 및 부드러운 타올을 이용하여 무리한 체위를 취하여
골절, 염좌, 타박, 찰과상 등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호흡억제를 가져오는 일이 없도록 조심한다.
3) 특히 어린아이는 방사선 감수성이 성인보다는 높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에 있어 최대한 방어를 해 주어야 하며 재검사가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4) 방사선 장치나 검사실의 환경에서 기계적 중압감을 느끼지 않도록 놀이기구, 그림
등을 이용하여 시선을 유도한 후 검사하도록 한다.
3. PORTABLE 검사 시 환자 응대
Portable검사가 의뢰되는 것은 환자의 상태가 위중하거나 검사를 위하여 방사선검사실로 이송하기가 곤란하든가 혹은 위험한 경우이다. 이에 환자와 진료자 사이에 신뢰관계가 필요하며 환자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경감시키도록 노력하는 것이 당연하며
이것을 위한 모든 창의적 연구가 요망된다.
- 병실환자의 경우
1) 검사 전에 검사의뢰의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여 재검사 하지 않도록 한다.
2) 병실 간호사실에 도착하면 환자의 상태 및 정보를 충분히 얻는다.
3) 검사내용 및 진행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4) 환자 외에 보호자는 가능한 한 협조를 구해 불필요한 피폭을 방지한다.
5) 환자가 중증인 것을 고려하여 신속한 진행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도록 한다.
6) 방사선 검사 때문에 제거되었던 물품은 퇴실 전에 제자리에 있도록 해야 한다.
- 중환자실의 경우
1) 감염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한다.
2) 생명유지를 위해 설치된 기구를 검사 시 장해가 되지 않도록 잘 처리한다.
3) 간호사에게 문의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검사에 임한다.
4) 무리한 검사는 금하고 의사나 간호사의 협조를 구한다.
5) 검사 후 호흡관리 장치나 순환관리 장치의 접속상태 등을 신중하게 확인하여
중대한 사고를 예방한다.
- 신생아실(신생아
중환자실)의 경우
1) 까운과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며 따뜻한 손으로 접촉해야 한다.
2) 카세트에는 멸균커버를 씌우고 간호사나 의사의 도움을 받는다.
3) 고정대로 사지를 고정할 경우에도 필요 이상은 하지 않는다.
4) 모든 검사를 되도록 단시간 내에 끝내야 한다.
방사선 검사실에서의 응급 처치
1. 응급 처치의 정의와 필요성
1) 정의 : 사고로
인한 부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생명이 위급하고 긴박한 상황에 처해있는 사람에게 치료원칙에 따라 적용되는 숙련된 기술이다.
2) 필요성
ㄱ.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함이다.
ㄴ. 손상이나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ㄷ.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2. 응급처치의 일반적 원칙
1) 환자를 위험지역에서 안전지역으로 옮기거나 환자주위에 있는 위험물을
제거한다.
2) 호흡정지, 심한 출혈, 쇼크, 음독 또는 중독 등 가장 긴급을 요하는 환자부터 처치.
3) 기도유지 - 환자의 턱을 위로 올려 기도가 직선이 되게 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질식을 막기 위해 기도내에 이물질을 제거하여 호흡을 자유롭게한다.
4) 지혈 - 출혈이 계속되면 생명을 잃을 수 있으므로 즉시 지혈한다.
5) 쇼크를 예방하고 치료한다.
6) 상처의 보호 - 먼지나 세균의 침입을 막기 위해 소독 가제나 붕대로 드레싱한다.
7) 환자를 편안히 눕히고 보온한다. 의식이 없는 환자는 Prone position이나 Lateral Position이
좋은데 이 체위가 불가능하면 Supine Position상태에서 머리만 한쪽으로 돌려놓는다.
8) 무의식환자에게 경구적으로 어떤 것도 주어서는 안 된다. 의식이 있더라도 복부에
심한 상처를 입거나 심한 출혈이 있는 경우도 마찬 가지이다.
9) 활력증후에 일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알코올 등도 주어서는 안된다.
10) 가능한 환자의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 말로써 환자를 안심시킨다.
11) 환자의 상태 및 모든 처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환자를 자주 관찰하고 재평가한다.
12) 비의료인의 협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협력자에게 적절한 지시와 관리를 한다.
13)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절하게 환자를 취급한다.
ㄱ. 골절이 의심되면 골절부위를 지지하고 조심스럽게 운반한다.
ㄴ. 옷을 벗길 때는 손상 받은 부위를 먼저 벗긴다.
ㄷ. 벗기기가 힘든 경우에는 옷의 솔기를 가위로 잘라낸다.
14) 주위의 상황에 유의하여 구급대를 부를 것인지 병원으로 옮길 것인지 결정한다.
방사선 검사실 CPR
1. 각 검사실에서 발생한 응급 환자의 경우 (8AM ~ 5PM)
1) 과내 마취과 의사의 신속한 도움을 받도록 연락한다. (T.2574, 2471)
2) 마취과 의사의 판단 하에 CPR방송 (T.9191)을 한다.
2. 본관에서 분리된 9번 검사실의 경우나 5PM이후 발생한 응급환자의 경우
1) 1인 :
CPR방송
(T.9191)을 한다.
2) 2인 :
E-Cart 배치 부서에서 신속하게 물품 조달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원내 SMART 이용방법
-CPR정도의 응급 상황은 아니나 환자의 전체적인 악화에 대해 걱정스러운 경우 이용한다.
지원장소 : 본관, 별관, 암센터(검사실 및 외래 치료실 포함, 응급실, 수술실 제외)
대상: 성인 환자(소아, CPR, DNR 환자 제외)
호출: 원내 직원 누구나 가능
호출시간 : 24시간 언제나
호출방법 : T. 3777 이용하요 SMART 호출
호출기준은 다음의 표에서 1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될 경우 가능하다.
구분 |
내용 |
세부 사항 |
호흡기 |
1.급성 호흡부전 |
호흡수<8회/분 혹은 호흡수>30회/분 |
2.급성 저산소증 |
기존산소 유지시 산소 포화도<90% 5분이상 지속시 |
3.호흡성 산증을 동반한 급성 고탄산혈증 |
이산화탄소분압>50mmHg & pH<7.3 |
4.상기도 폐쇄 |
천명(Stridor) 혹은 호흡 부속근 사용시 |
순환기 |
5.원인 불명확한 저혈압 |
증상이 동반된 수축기 혈압<90mmHg |
6.심박동수의 급격한 변화 |
심박동수<50회/분 혹은 심박동수>130회/분 |
7.급성 흉통 |
|
8.증상이 있는 부정맥 |
|
신경계 |
9.갑작스런 의식변화 혹은 불명확한 불안,초조 |
|
10.경련 |
|
기타 |
11.환자의 전체적인 악화에 대해 걱정스러운 경우 |
|
4. 검사실별 담당자와 검사실 책임자는 정규적인 교육을
실시 받도록 한다.
5. CPR과 관련된 모든 업무는 담당 전문 간호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기도 유지 방법
Head tilt Method : 처치자의 한 손을 환자의 이마에 대고 최대한 환자의 이마를 뒤로 젖혀준다.
Head tilt - chin lift Method : 환자의 이마를 뒤로 젖히면서
턱을 잡고 윗니 와 아랫니가 거의 닿을 정도로 턱을 앞으로 잡아당긴다.
의치 사용 시 엄지 손가락으로 의치를 고정시킨다.
턱을 잡아 당길 때 연 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Head tilt - neck lift Method : 한 손은 환자 이마를 뒤로
젖히고 다른 손은 환자의 목 밑에 넣고 부드럽게 목을 위로 올려 주어 머리와 목이 연결되는 부위를 과 신전 시켜준다.
Triple Method : 환자의 머리쪽에
앉아서 처치자의 4 손가락을 환자 턱의 각진 부위에 놓은 뒤, 하악골을 앞쪽으로 강하게 당기고, 머리를 뒤로 젖히며, 엄지 손가락으로 환자의 아랫 입술을 아래쪽으로 민다.
Jaw thrust Method : 환자의 머리를 중앙에 자연스럽게 두고 환자의 턱의
각진 부분을 위로 잡아 당긴다. 또는 엄지 손가락을 환자의 입에 넣고 머리와 목을 고정시킨 뒤 아래
턱과 혀를 위로 잡아 당겨준다.
호흡 유지
기도가 확보되면 호흡을 확인해야 한다.
만약 호흡이 없으면 호흡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호흡 확보를 위한 가장 빠른 방법은 mouth-to-mouth 호흡법이다.
환자의 코는 공기가 빠져 나가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M-TO-N시)
호흡을 불어넣어줄 때 저항이 있는지, 흉곽이 올라오는지 확인해야 한다.
환자 스스로 호흡할 수 있을 때까지 매 5초마다 호흡을 불어넣는다.
담당 의사가 도착하기 전까지 모든 응급장비를 준비하여 둔다.
응급환자 확인
1) 1차 확인
ㄱ.
현장이 안전한지 즉각 확인한다.
ㄴ. 기도를 확인한다.
ㄷ. 흉곽의 움직임과 공기량의
흐름을 주시하면서 호흡을 확인한다.
ㄹ. 의식이 없는 환자는 경동맥이나 대퇴동맥을 확인하고 의식이
있는 환자는 요골 동맥을
촉지하여 순환을 확인한다.
2) 2차 확인
ㄱ.
의식 수준을 결정한다.(AVPU)
- Alert : 사람, 장소, 시간을
잘 구별한다.
- Verbal : 언어 자극에 반응한다.
- Pain : 고통을 주는 자극에 반응한다.
- Unconscious : 깨울 수가 없다.
ㄴ. 활력증상을 측정한다.(V/S Check)
ㄷ. 맥박 : 요골 맥박을
15초간 측정하여 4를 곱한다. 부정맥 등
심장질환이 의심되는 경우는 60초간 맥박강도, 맥박량을 신중히 측정한다.
ㄹ. 호흡 : 요골 맥박을
15초간 측정하여 4를 곱한다.
호흡이 약한 경우 횡격막에 손을 대고 호흡률과 양상을 측정한다.
ㅁ. 혈압 : 요골 맥박을 확인하고 요골 맥박이 안 들릴 때까지
커프를 팽창시킨다.
응급처치 유형별 분류
1) 안전사고 (낙상) : 환자가 검사대로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또는 검사도중 검사대에서 부주의로 인해
떨어지는 경우
ㄱ. 예방
- 환자를
검사대에 올릴 때 발판의 사용이나 내려오는 방법을 알려준다.
- 불안정하거나
몹시 움직이는 환자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억제대나 다른 안전조치를 취한 후
검사를 시행한다.
ㄴ. 처치
- 낙상한
환자는 일단 의식 상태를 파악한 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동통 유무와 골절 유무를
알기 위해 환자에게
움직여 보도록 한다.
- 출혈이
있는 경우 소독된 물품을 사용하여 압박을 지혈 시킨다.
2) 안전사고 (검사기계 추락) : 세팅 되어 있는 기계가 레일을 타고 오거나 하강하여 검사대로 가거나
검사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다치게 한 경우
ㄱ. 예방
- 검사실 근무자는 근무 시작 전 검사기계를 점검한 후 검사를
시작한다.
- 검사실내에 검사자와
함께 들어가도록 하고 물품은 만지지 않도록 한다.
ㄴ. 처치
- 기계가 환자를 다치l게 한 경우 환자의 상처 여부와 동통여부를 확인한 후 기계를
원위치
시킨다.
- 상처가 생겼거나 출혈 양상이 보이는 경우 소독된 물품을
사용하여 지혈하고 즉시 담당의사를
부른다.
3) 조영제 부작용
ㄱ. 예방
- 검사 전 조영제 사용 허가서를 반드시 받는다.
- 천식이나 자가면역 질환 환자는 담당의사와 다시 한 번 상의하도록
한다.
- DYE 1-2cc를 IV한 후 15-20분 동안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ㄴ. 처치
- 구토 : 환자를 옆으로 눕히거나 고개를 옆으로 돌려준다.
농반을 대주어 입안의 구토물을 뱉어내도록 한다.
- 두드러기 : 긁지 않도록
하고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조치하고 더 이상 같은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오한을 동반한 고열 : 오한이 심한 경우는 일단 담요를 덮어 보온 시켜주고
열이 38도까지
오르면 담요를
걷어내고 찬물 찜질을 한다.
- 숨가픔이나
기침(천식) : 쌕쌕거리는 호흡소리와 함께 기침을 하는 경우 환자를 가능한
반좌위로 체위를 변경시켜 준다.
- 두통 : 검사를 중단하고
환자를 반좌위로 앉힌 후 담당의사와 상의한다. 두통은
뇌출혈 등이
의심되므로 빨리
해결해야 함.
- 쇼크 상태 : 식은 땀, 저혈압, 어지러움증, 기진맥진, 빈맥, 불안, 초조, 혼수
빠르고 얕은 호흡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는 경우 일단 환자를 눕히고 발쪽을 15-30도
가량 올려주어 혈액의 귀환
용량을 높혀준다.
- 호흡정지 : 얼굴이 붉혀지며 공포를 느끼는 얼굴이 되다가 호흡이
끊긴다. 이때 입안의 이물질
여부를 확인하고
기도를 열어주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