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양(신생물) 

기본종양의 분류 및 특성

1. 상피성 종양

상피성 양성 종양

상피성 양성종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유두종
이 종양은 성장 유형이 사마귀나 닭 벼슬과 같이 돌출형으로 성장하는 종양이나 유종양성 병변이다. 피부의 편평 상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편평세포 유두종(squamous cell papilloma), 조직이나 하부 요로계의 이행상피에서 발생하면 이행상피 유두종(transitional papilloma), 유선의 도관상피에서 발생하는 유관유두종(ductal papilloma) 등에서 흔히 관찰된다.

② 선  
조직상으로, 선관 구조를 취하는 경우를 일반적으로 말하고 있지만, 선관 구조의 유무를 문제삼지 않고, 선상피 유래의 종양에 대해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부신 피질선종(cortical adenoma) 이나 하수체 전엽 유래의 종양을 하수체선종(pituitary adenoma)이라고 부르고 있다. 유방에서는 섬유 선종(fibroadenoma), 위나 대장에는 선종(adenoma)이 자주 보이며, 내강을 향해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폴립(polyp)이라고 한다. 폴립은 육안적인 명칭으로, 조직학적으로는 염증성이나 과형성 등 진정한 종양 이 아닌 것을 포함하고 있다. 폴립이 종양인 경우에는 선종성 폴립(adeno- matous polyp)이라고 하고 또한 이 폴립이 광범위에 걸쳐서 발생한 경우를 폴립증(polyposis)이라고 부르고 있다. 특히 유전되는 대장의 폴립증을 가족력 폴립증(familial polyposis)이라고 하며 대장암이 이런 환자에서 호발한다.

③ 낭선종
난소에 많이 보이며, 큰 주머니 모양을 하고, 내강에 장액성 또는 점액성의 내용물을 집어넣고 있다. 낭선종(cystadenoma)은 진정한 종양이지만, 이것과 유사한 것으로 낭포(cyst)가 있다. 낭포는 선관이 확장하여서 주머니 모양이 된 것으로 종양성의 것은 아니다. 낭포 선종의 상피는 자주 유두상으로 증식 하여 유두상 낭선종(papillary cystadenoma)이라고 한다.

 

상피성 악성 종양(암종)

① 편평세포암종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은 편평 세포에 의해서 덮힌 조직 유래한 암종이며, 주요 발생 부위는 피부, 구강, 식도 등이지만, 편평세포화생을 일으키는 폐, 기관, 쓸개, 상악동, 방광, 자궁경부 등에 서도 자주 발생한다.
조직학적으로 고분화형인 것은 편평세포와 동일 구조를 나타내고, 중심에 각질화를 갖는 암진주(keratin pearl)가 있으며, 각질화가 없는 것은 비각화 편평세포암이라고 부르고 있다. 암진주는 종양 세포가 서로 밀착하면서 세포소(cell nest) 또는 도상(island, 섬모양)으로 증식하고, 그 주위를 결합 조직이 차지하는 형태를 말하며, 상피성 종양에 특징적인 구조이다. 암종의 경우, 이 세포소 구조중, 중앙부의 케라틴(각질) 성분의 부분을 암진주(각질 덩어리는 육안상 흰 진주색과 유사함)라고 부른다. 반면에 저분화의 편평세포 암에서는 각질화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에는 암세포 상호간에 조직이 고정되어 수축되므로 부착반(desmosome)에의 형성되는 세포간다리(intercellular bridge)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 에 도움이 된다. 편평세포암이나 선암에서 분화 경향의 정도에 따라 통상, 고분화형, 중분화형, 저분화형 으로 분류된다.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구조의 비정형의 정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화 의 정도가 낮을수록 구조의 비정형이 강하고, 악성도도 또한 높다. 그러나 편평세포암의 분화도는 대세포 각화형, 대세포 비각화형, 소세포형 등으로 나눈다.

② 이행세포암종
이행세포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은 요로계 상피에서 기원한 암종으로, 신장의 신우, 요관이나 방광 등에 발생하고, 가끔 종양 조직내에 선모양 또는 편평상피 모양의 것을 포함하고 있다. 종양은 일반 적으로 내강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유두상의 발육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세포층이 7층을 기준으로 하 여 그이상이 넘는 것을 악성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종양 중에는 종양의 증식이 확실한 유두상 의 증식하지 않고 침투형으로 성장하여 벽내부로 침입하는 경우도 있다.

③ 선암종
선암종(adenocarcinoma)은 선방(acinus), 선관(duct) 및 점막의 선상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암종을 포함하며, 공통적인 형태학적 특성은 선관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분화가 나뻐서 선관 구조를 나타내지 않아도 선상피기원의 암종이 인정되는 것은 모두 선암이라고 부르고 있다. 선암종은 점 액을 생산하는 것이 많고, 선강내에 점액을 볼 수도 있으며, 또한 암세포가 점액소의 안으로 뜨기도 하는
데 점액을 많이 생산하므로 점액암종이라고 한다. 또 세포질내의 점액때문에, 암세포의 핵이 한쪽으로 떠밀려서 초승달 모양으로 변형하여서 인환(반지)모양이 되므로 이 암종을 인환세포암 또는 반지세포암 종(signet ring cell carcinoma)이라고 한다. 선관내강에 분비물을 확인하기 어려운 저분화형 선암종의 경우에는 PAS, alcian blue, mucicarmin 염색 등으로 암세포의 세포질내에 점액 물질을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을 준다.

2. 비상피성 종양

섬유 조직 종양   

① 섬유종
양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섬유종(fibroma)이라고 하며, 섬유세포와 콜라겐(교원섬유)으로 이루어진다. 섬유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특징이 있고, 비인강에 발생하는 것과 피부에 나는 것은 혈관이 풍부하다. 이때는 혈관섬유종(angiofibroma)이라고 한다. 또한, 종양과 주위와의 경계가 불명료한 것을 섬유종종 (fibromatosis)이라고 한다. 섬유종증은 넓은 의미에서는 섬유종의 다발 또는 발육하기 쉬운 상태를 가리키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위에 서술한 상태를 가리킨다.

② 섬유육종
섬유육종(fibrosarcoma)은 섬유모세포로부터 발생한 악성 종양이며, 3050세에 많고, 방추형 세포의 속상 배열이 교착하며, 전형적인 것은 마름모꼴 모양의 배열을 한다. 또한, 섬유육종과 비교해서, 거세포
가 많이 관찰되는 등 다형성이 풍부하며, 종양 세포가 화문석 모양의 배열을 나타내는 것이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악성도가 높고, 후복막, 전부, 대퇴 등에 호발한다.

지방조직 종양

① 지방종
지방조직기원의 양성종양을 지방종(lipoma)이라고하며 경부, 어깨, 배부, 전부나 대퇴 등의 피하 지방 조직으로부터 발생한다. 피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분화가 잘되어 조직학적으로 정상적인 성숙한 지방조 직과 거의 유사하다. 부신 수질의 지방종은 골수 조직을 섞고 있어 골수 지방종(myelolipoma)이라고 불린다.

② 지방육종
다리와 후복막에 많은 악성 지방세포기원종양으로, 잘 분화하여서 지방종과의 감별이 어려운 지방종양 고분화형 지방육종(liposarcoma), 치료 후의 경과의 비교적 양호한 점액형 지방육종, 분화도가 나쁜 원형세포 지방육종, 또는 이형성이 강한 대형세포가 출현하는 악성도가 높은 다형형 지방육종 등 4종류의 병리조직학적 유형이 있다. 현미경적으로는 지방조직내에 비정형적이거나 다형성의 악성세포가 관찰되며 점액성인 경우에는 혈관의 증식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email | sitemap | home

Copyrights (C) 2006-2007 All Rights Reserved by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Radiology